top of page
추천뉴스
kagronews

해수부, 미래 수산업 이끌 수산업경영인 선정

어촌에 새로운 활력을 주고 수산업을 미래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수산인력 양성 정책이 순항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젊은 인력이 어촌으로 유입되어 수산업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2016년 수산업경영인 1411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수산업 경영인은 어업인 후계자(50세 미만인 자로서 어업경력이 없거나 경력이 10년 미만인자), 전업경영인(55세 미만인 자로 어업인후계자 선정 후 3년 이상 경과한 자), 선도우수경영인(전업경영인으로 선정 후 3년 이상 경과하거나 수산신지식인으로 선정된 자)으로 선정된 사람을 통칭한다.

올해 수산업경영인 선정 현황을 살펴보면 ▲단계별로는 어업인 후계자 1,195명(84.7%), 전업경영인 191명(13.5%), 선도우수경영인 25명(1.8%)이 선정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683명(48.4%)으로 약 50%를 차지했으며, 30대가 493명(34.9%), 20대 미만이 195명(13.8%), 50대가 38명(2.7%)으로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가 644명(45.6%)으로 가장 많은 인원이 선정됐으며, 경상남도가 227명(16.0%), 충청남도 129명(9.1%), 전라북도 109명(7.7%), 제주도 92명(6.5%), 경상북도 79명(5.6%) 순이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선정된 수산업경영인을 대상으로 1인당 최대 1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수산업경영인의 안정적인 어촌정착을 위해 1인당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지원 자금은 어선어업․양식업․수산물가공 및 유통․소금제조업 등의 창업자금과 경영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장우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관은 “수산업경영인이 성공적으로 어촌에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수산업을 경영할 수 있도록 창업과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산업경영인 양성은 현 정부 국정과제의 핵심추진 과제 중 하나인 ‘수산업의 미래산업화’를 위한 사업으로 해양수산부에서는 1981년부터 수산업에 종사할 청장년을 발굴해 지원해오고 있으며, 올해까지 총 2만5732명의 수산업 경영인을 선정했다.

최근뉴스
Search By Tag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