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추천뉴스
kagronews

올해 콩 농사 준비할 시점입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국내 콩 자급도 증진을 위해 콩 파종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안정적인 콩 생산을 위한 품종 추천 및 콩 재배 시 유의사항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쌀 안정수급을 위한 논에서 다른 작물 재배 확대 및 콩 수매 물량 증가로 올해 논 재배 콩 재배 면적은 20% 늘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식량과학원과 각 도 농업기술원은 장류·두부용 콩 품종을 가지고 농가 현장실증시험을 실시(2014년~2016년)해 중·북부지역에서 재배하기 좋은 콩 품종을 선발했다. 실증시험 결과, 최근 육성된 품종들 중 '선풍'과 '우람'이 중·북부지역에 재배하기 적합하며, 특히 '선풍'은 쓰러짐, 이병립률, 수량성 등 생산적인 측면에서 가장 유리했다. '우람'은 국립종자원 충남지원에서 종자를 보급하고 있으며 '선풍'은 농업실용화재단에서 보급했으나 현재 전량 종자 공급을 완료해 재고가 없어 내년도 확대 생산해 보급할 계획이다. 최근 육성한 콩 품종의 농가 간 수량격차 해소 및 재배 시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공동 연구 결과, 콩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재배 전 밑거름을 줬을 때가 비료를 주지 않는 것에 비해 약 10% 늘었다. 일부 콩 농가는 앞작물 재배 시 남아있는 비료분에 의해 쓰러짐을 염려해 파종 전 비료를 주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비료를 주지 않는 것보다 약 10% 정도 수량이 늘었다. 또한 콩을 심을 때 1구멍(포기) 당 3~5알을 파종하고 있어 생육 중 식물체의 쓰러짐의 많이 발생한다. 1구멍당 2~3알을 심는 것이 안정적인 생육에 유리하며 수량성도 약 10% 증수됐다. 안정적인 콩 생산을 위한 일반적인 유의사항으로는 파종 전 반드시 종자를 소독하고 적기에 파종해야 한다. 종자 소독은 종자 1㎏에 베노밀 4g~5g을 골고루 묻혀 준비한다. 중북부지역 콩의 적정 파종 시기는 6월 상순이지만 앞 작물과의 작업 편리성, 기상상황을 고려해 파종시기를 결정한다. 콩 심는 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수량이 감소하며, 7월 상순이 지나면 20% 이상 감소하므로 적기 파종이 수량 확보에 좋다. 농촌진흥청 중부작물과 윤홍태 농업연구관은 "안정적인 콩 생산을 위해 콩 생산 농가는 적절한 품종 및 파종 방법, 재배 시 유의사항을 준수해야 한다"며 "농촌진흥청은 앞으로도 콩의 주요 생육 시기별 영농 정보를 꾸준히 농가에 제공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최안순 기자>

최근뉴스
Search By Tag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