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추천뉴스
kagronews

버려지는 버섯 배지, 한우 사료로 효과 좋아

버섯을 재배하고 난 뒤 버려지는 배지를 소의 사료로 활용하면 체중 증가와 함께 사육 기간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한우 사육 농가 2곳의 한우 129마리를 대상으로 현장실증시험을 실시한 결과 이 같은 비육효과로 1마리당 38만 원의 소득을 더 올릴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버섯재배 부산물은 새송이·팽이버섯 등을 재배하고 남은 배지에 유산균, 효모균, 고초균 등의 미생물제제와 쌀겨를 넣은 뒤 공기를 차단하는 방법(혐기성)으로 30~40일(여름 10~15일) 동안 발효시켜 만든다. 이렇게 만든 버섯재배 부산물의 가소화영양소총량(TDN)4)은 72.6%(마른원료 기준)로 볏짚보다 1.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이 부산물을 섬유질배합사료(TMR)5)에 평균 10%씩 넣어 한우 육성기부터 약 2년 동안 먹인 결과, 출하까지 평균 29.7개월이 걸렸다. 이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먹인 대조구(30.1개월)에 비해 12.2일이 줄어든 수치다. 또한, 도체중은 434.5kg으로 대조구(411.8kg)보다 22.7kg 증가했고, 육량 형질인 등심단면적은 5.5㎠ 더 넓게 나타났다.

육질 형질인 근내지방도(No.)도 대조구보다 0.4 정도 높았으며, 육질등급지수8)는 4.0으로 전체 평균 일플러스(1+)등급을 나타냈다. 우리나라의 버섯재배 부산물은 연간 167만 톤이며, 사료화 가능 부산물은 58% 수준인 97만 톤 정도로 예측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버섯재배 부산물의 한우 비육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시범사업 확대방안을 마련해 기술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진현주 농업연구사는 "한우의 고급육 형질을 최대한 발현하면서도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버려지는 버섯 배지를 사료 자원화에 활용하면 특용작물과 축산, 두 산업에 모두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선돈희 기자>

최근뉴스
Search By Tag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