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치기 도구 소독만 해도 예방
- kagronews
- 2018년 1월 26일
- 1분 분량

“가지치기 할 때는 작업도구 수시로 소독하세요.”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에 따르면 사과, 배, 복숭아, 단감 등 주요 과수의 가지치기(전정)철을 맞아 작업 시 사용하는 도구와 착용하는 의복 등을 수시로 소독해 과수에 발생하는 세균병, 바이러스 등을 예방해줄 것을 당부했다. 과수 휴면기인 1~2월에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가지치기는 나뭇가지를 효율적으로 배치해 과수의 성장을 좋게 하고, 균형 잡힌 열매 맺기(착과)를 위한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가지치기에 사용하는 도구가 나무와 나무사이에 병해를 옮기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소독하며 사용해야 한다. 전정가위, 전정 톱 등 소형도구는 한 나무를 가지치기 한 뒤 소독액에 30초 이상 담가 소독하거나, 분무기로 소독액을 뿌린다. 장갑·작업복·신발·모자 등 의복과 작업용 사다리 등도 분무기로 소독액을 수시로 뿌려줘야 한다. 또한 잘라낸 나뭇가지를 싣고 나르기 위해 과원에 들어오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 대형농기계에도 소독액을 뿌려 병해의 이동을 막아주는 것이 좋다. 소독액은 70% 알코올 또는 200ppm 이상 락스(차아염소산나트륨, 물과 락스를 20대 1 비율로 희석)를 이용한다. 한편, 과원 내 발생한 낙엽, 잡초, 썩은 가지 등은 과수의 생육기간 중 발생한 병해충의 월동장소가 되기 때문에 가지치기 작업을 하는 시기에 함께 정리를 해야 한다. 특히 전염성이 강한 과수화상병, 과수가지검은마름병, 자두곰보병 등이 발생한 과원의 경우 나무와 잔재물을 과원 밖으로 절대 이동하지 말고 땅에 묻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 뒤 태운다. 농촌진흥청 유승오 기술보급과장은 “가지치기 도구를 소독하는 작은 습관이 과수화상병이나 과수가지검은마름병 등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는 병해를 예방하는 첫 걸음이므로 과수 농업인들의 적극적인 실천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임영민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4월 8일 경기도 안성시 소재 농협창업농지원센터에서 강호동 회장과 안성시 관내 조합장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11기 입교식을 개최했다.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는...
[한국농림신문 김 별 기자] 세종특별자치시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종태)가 도시농업에 관심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과정은 도시농업 정의와 이해, 도시농업 기술,...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