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추천뉴스
  • kagronews

직접 만든 사료로 한우 성적 ‘쑥쑥’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이 자체 개발한 ‘한우 사료배합 프로그램’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가운데 이를 활용한 우수 사례가 소개돼 눈길을 끈다.

이 프로그램은 농식품 부산물을 활용해 농가에서 직접 배합비를 짜고 사료(섬유질배합사료)를 만들 수 있는 전산 프로그램이다.

한우의 영양소 요구량에 근거해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원료를 이용할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높다. 특히, 컴퓨터를 다루기 쉬운 영농 승계자의 반응이 좋다.

국립축산과학원 누리집(http://www.nias.go.kr → 연구활동 → 농가활용 프로그램)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2012년부터 현재까지 프로그램 조회 수가 2만8000여 건에 이른다.

농식품 부산물로 섬유질 배합사료를 만들어 먹이면 사료비를 아낄 수 있고 육질 좋은 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

실제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경기 양주, 충남 당진, 제주 지역 영농승계 농가 3곳의 도체 성적은 프로그램 적용 전 전국 평균 수준이었지만, 적용 후에는 상위 10%까지 올랐다.

일투플러스(1++) 등급 출현율은 평균 20.2%에서 50.7%(전국 평균 15.5%)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육량도 늘어나 3개 농가의 평균 도체중(도축한 가축 무게)이 414kg에서 439kg으로 증가했다.

충남 당진에서 한우 200마리를 키우는 농장주는 "프로그램을 통한 적절한 영양소 관리와 첨가제 조절도 중요하지만, 시간 날 때마다 연구자와 상담하는 것도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제주의 농장주는 “지난 3년 동안 한우 250마리에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직접 사료를 만드는 것은 힘들었지만, 사료비가 38% 절감되었고 육질 성적이 올라 한 해 7000만 원 정도 순수익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영양생리팀 백열창 농업연구사는 “컴퓨터에 익숙한 영농 승계자와 프로그램이 만나니 전국 평균 농장에서 상위 10% 농가에 해당하는 성적을 2∼3년 만에 끌어 올렸다”고 전했다.

이어 “직접 사료비를 짜는 것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지만, 차근차근 도전하면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프로그램과 섬유질배합사료(TMR)에 대한 궁금증은 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063-238-7458)으로 하면 된다. <최안순 기자>

최근뉴스
Search By Tag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