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gronews
도시농업, 공간 확보 비즈니스 모델 발굴 필요
최근 도시농업이 복지, 일자리, 식생활 개선, 치유, 공동체의 사회 복원 등 다양한 공공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선 공간 확보, 참여자 편의 제공,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이 8일 ‘농업가치 확산을 위한 도시농업의 역할’을 주제로 대구 수성구의 희망토 회의실에서 개최한 2018년 제6차 KREI 생생현장토론회에서 나왔다.
KREI에 따르면 허주녕 KREI 전문연구원은 ‘학교텃밭 실태와 참여 효과’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도시지역에 있는 토지, 건축물을 활용한 도시농업은 2010년 104ha, 15만명에서 2017년 1,100ha, 190만명으로 늘었다”며, 도시농업을 더욱 활성화시킨다면 농업가치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이며, 귀농․귀촌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고 밝혔다.
한편, 2015년 104ha로 정점을 찍은 학교 텃밭은 최근 감소 추세라며, 활성화를 위해 도시농업 전문가 컨설팅 및 관리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농업체험과 함께 다양한 실습(요리 등) 교육텃밭 조성이 필요하며, 농업가치 확산과 식생활 개선을 위해 역시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텃밭 활동이 학생들의 식생활 개선에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주요 6개 특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학교 텃밭의 효과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평소보다 음식을 골고루 먹는다’고 밝혔으며, 서울, 부산, 광주의 어린이 77명이 학교 밖 어린이 텃밭 활동 참여 후에 ‘식생활 수업활동 후 개선효과’가 64.2% 증가했다고 밝혀 관심을 끌었다.
강영수 농업회사법인 희망토 이장은 ‘도시주말농장을 청년농부 귀농․귀촌 인큐베이팅 농장으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강 이장은 “도시 청년들에게는 각종 귀농․귀촌 지원금 등의 정책보다는 농업이 직업으로서 매력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농업에 뛰어들 수 있는 기회를 도시에서 제공해야 한다”며, 농촌의 생산력과 도시의 소비력을 결합하는 매개체로서 청년농업인의 체계적인 육성을 강조했다.
정태열 경북대 조경학과 교수는 ‘대구시 도시농업 5개년 발전 계획’이란 제목의 발표를 통해 제2차 대구도시농업 육성 5개년 발전계획을 소개했다.
5개년 계획은 2022년까지 ‘생활 속 도시농업, 행복한 시민농부’를 비전으로, 도시농업 공간 확대, 참여계층의 다양화, 관련산업 육성 및 지원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도심에서 행해지는 도시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파트단지 내 주민 텃밭 조성 사업, 도시농업 가능 부지 실태조사 등의 세부전략 등을 소개했다.
한편, 대구시 도시농업의 문제점으로 텃밭에만 치우친 활동, 도심지 공간 활용의 어려움, 면적 및 텃밭상자를 과시하는 양적 확대 치중을 꼽았다.
발표 이후 김태곤 KREI 시니어이코노미스트의 주재로 토론이 이어졌다.
김지형 (사)대구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는 “도시농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보면 점점 귀농·귀촌을 생각하고 오는 분들이 많다”며 “도시농업이 귀농·귀촌의 통로로서 기능을 하고 있으며, 농업·농촌의 가치를 알리고 사라져가는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작용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동현 ㈜ 팜큐브 대표는 “귀농·귀촌 시 도시농업에서 겪어보지 못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어 도시농업과 실제 농업은 구분되어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미옥 농식품부 종자생명산업과 사무관은 최근까지 1,600명 정도의 도시농업관리사가 배출되었는데, 이들을 조직하고 활동을 체계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학교에서는 도시농업관리사 등 전문 강사를 구해야 하며 도시농업관리사는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문제도 있는데, 내년에 종합정보시스템 사이트 운영을 통해 도시농업관리사로 등록할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고, 향후 일자리 포털시스템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안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