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쌀 '흑미' 품질 높이려면, 모내기 시기 중요
- kagronews
- 2019년 5월 22일
- 1분 분량
눈큰흑찰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고품질의 흑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일반 적기보다 2주~3주 늦게 모내기 할 것을 추천했다.
이에 따르면 흑미는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을 씨껍질(종피)에 많이 함유한 쌀로 재배 환경에 따라 함량이 크게 달라진다.
외관상 색깔에 따라 흑미의 등급과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안토시아닌 함량을 높여 흑미 색을 진하게 하면 농가 소득을 높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이 3년간 흑미 14품종을 시험한 결과, 모내기 적기보다 2~3주 늦게 했을 때 안토시아닌 함량이 1.5배~3배 이상 높았다.
6월 20일에 모내기 하면 안토시아닌 함량이 1.5배∼2배 정도 높았고, 6월 30일에 모내기 하면 최대 3배까지 높았다.
모내기가 늦어지면 이삭이 나온 후의 기온도 낮아지는데, 이삭이 나온 후 30일간의 평균기온이 22℃ 이하일 때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고 흑미 색깔도 진하게 된다.
특히 조생종 흑미는 모내기 시기가 늦어지면 중생종이나 중만생종에 비해 안토시아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한편, 흑미는 모내기 적기보다 2주 이상 늦어지면 안토시아닌 함량은 높아지지만 쌀 수량은 감소하기 때문에 2~3주 사이의 적절한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종민 논이용작물과장은 "모내기를 늦춰 흑미 품질을 높이는 기술은 중산간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농가와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유색미 재배 기술 연구로 쌀의 가치를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임영민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4월 8일 경기도 안성시 소재 농협창업농지원센터에서 강호동 회장과 안성시 관내 조합장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11기 입교식을 개최했다.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는...
[한국농림신문 김 별 기자] 세종특별자치시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종태)가 도시농업에 관심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과정은 도시농업 정의와 이해, 도시농업 기술,...
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