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추천뉴스
kagronews

해수부, 고수온·적조 피해 최소화 대책 마련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여름철 양식 분야 주요 재해인 고수온과 적조로 인한 어·패류의 폐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78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2019년 고수온 · 적조 피해 최소화 대책’을 확정했다.

아시아 ·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기후센터, 국립수산과학원 등 국내외 연구기관에 따르면, 올해 여름에는 강한 대마난류 세력과 북태평양 고기압 확장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연안 수온이 평년 대비 1℃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부는 고수온 · 적조로 인한 양식 분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준비 단계, 집중대응 단계, 사후수습 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대책을 마련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해나갈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7월 중순 이전에 양식 생물을 조기 출하할 수 있도록 주요 양식품종의 가격 추이 및 수급동향 등을 지속 제공하는 한편,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가입 확대를 위한 홍보를 병행할 계획이다.

또한, 현장에서 고수온·적조 대응·방제장비를 사전에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올해에는 고수온 대응장비 보급을 위한 예산 30억원을 신규 확보해 총 68억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진다.

6월 중에는 관계기관 사전대책협의회의, 어업인 대상 찾아가는 현장간담회 등도 개최할 계획이다.

관측된 정보는 온라인, 모바일 앱(수온정보 서비스)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해 어업인들이 현장에서 고수온 및 적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예정이다.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에는 특보 단계별로 고수온·적조 위기대응 지침에 근거해 체계적으로 대응한다. 특히 고수온·적조 경보 발령 시에는 장관이 상황관리의 총책임자가 돼 직접 대응상황을 관리한다.

최완현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근본적으로 막긴 어렵지만, 철저한 상황관리를 통해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다”며 “이번 대책에 따라 고수온 · 적조에 차질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도 적극적으로 협조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선돈희 기자>

최근뉴스
Search By Tags
bottom of page